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백서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바로하기, 검사항목 및 발급방법

by 알유백서 2023. 10. 15.

안녕하세요. 알유백서입니다. 식품업이나 요식업 계통에 일하고 계시는 분들이나 가벼운 알바를 하시려는 분들은 반드시 보건증을 발급 받으셔야 합니다.

저도 카페 알바를 할때 보건증을 발급 받은적이 있는데요. 오늘은 보건증을 받기 위해서는 어떤 검사를 받아야하는지, 또 인터넷으로도 발급이 가능한지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건증-인터넷-발급-바로하기-검사항목-발급방법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바로하기, 검사항목 및 발급방법

보건증이란?

보건증은 옛 단어로 현재는 건강진단결과서라고 불립니다. 음식을 조리하거나 전달하는 사람이 전염성 질병을 가지고 있는지, 그 외 건강이상이 없는지를 증명하기 위한 문서입니다.

식품·유흥업에서 일하는 경우 식약처와 복지부 등 법령에 따라 건강진단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데요, 건강진단 의무 이행을 위해 보건소에 방문하여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를 발급 받으셔야 합니다. 

 

보건증 발급받기

 

보건증 검사항목

보건증인터넷발급-검사항목
보건증 인터넷 발급 검사항목

보건증을 발급 받으시려면 몇가지 검사항목들이 있습니다. 이 항목들은 전국 어느 보건소에 가시든지 동일하며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검사를 하게 됩니다.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하셔야 검사를 받으실 수 있으며, 건강진단결과서 발급신청서 접수 후 검사를 받으시면 됩니다.

검사항목

  • 폐결핵 검사 (흉부 엑스레이 촬영)
  • 장티푸스 검사 (항문 채취)
  • 전염성 피부질환 검사 (전문의 문진으로 간단한 피부검사)
  • 간염 검사(일부 보건소에서 진행할 수도 있음)

보건증 발급방법

보건증 발급 방법은 검사 후 건강진단결과서 신청서 작성 후 신청하시면 영업일 기준 5일정도면 결과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보건증 발급비용은 3,000원이며, 유효기간은 1년입니다. 단, 학교급식 관련 종사자의 경우 유효기간은 6개월로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보건증 발급받기

 

보건증 발급의 경우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직접 보건소 방문하는 방법과 팩스 또는 우편으로 받는 방법, 그리고 인터넷으로 발급 받는 방법입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방법 

보건증 인터넷 발급은 검사 후 결과를 받을때만 가능합니다. 결과를 받으셨다면 보건소에 방문하지 않아도 간단한 조회만으로도 보건증을 발급 받으실 수 있으며, 재발급시에도 동일하게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럼 보건증 인터넷 발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공공보건포털-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인터넷-발급
공공보건포털 보건증 인터넷 발급

 

보건증 발급받기

 

보건증은 인터넷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를 통해 쉽게 발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 인터넷 발급은 판정결과가 '정상'의 경우에만 조회가 가능하며 이 외에는 가까운  보건소에 방문하시어 보건증을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1. "보건증 발급받기" 버튼을 누르시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동 후 약관에 동의한 후 본인이 편한 방법으로 간편인증 합니다.

공공보건포털-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인터넷-발급
공공보건포털 보건증 인터넷 발급

2. 본인인증 후 증명 문서 조회 및 발급 항목에 건강진단결과서 선택 후 발급 받으시면 절차는 마무리가 됩니다. 건강진단결과가 정상일 경우에만 아래 결과서 항목에 표시가 됩니다. 

공공보건포털-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인터넷-발급
공공보건포털 보건증 인터넷 발급


오늘은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효기간이 1년이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보건소에 가셔야 했지만 오늘 알려드린 방법을 쓰신다면 번거로운 절차를 줄이고 집에서 편하게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하실 수 있으십니다. 간단한 절차로 1분만 투자하시면 쉽게 발급 가능하니 보건증이 필요하신분들은 꼭 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