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백서

전입신고 인터넷으로 1분만에 바로하기

알유백서 2023. 9. 18. 21:11

안녕하세요. 알유백서입니다. 이사를 가게 되면 반드시 주민센터에 신고해야 하는게 전입신고인데요, 이직을 멀리하시거나 전근으로 이사를 가야하는 직장인분들은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기 때문에 연차를 내서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전입신고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 제가 인터넷 전입신고 방법을 알려드릴테니 간단하게 1분 투자해서 연차 1일 아껴보세요.

전입신고 인터넷 신청방법

 

 

전입신고란?

새로 이사한 주소지 관할청에 거주지를 옮겼다는 사실을 등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14일 이내 신고하셔야하며 미신고하시면 과태료 5만원이 부과됩니다. 많은 분들이 과태료 부과되는 사실을 잘 모르고 계십니다.

단순 미신고 일 경우 5만원이지만 내용에 따라 부과금이 달라지니 이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전입신고 바로가기

 

1. 전입신고를 해야하는 이유

전입신고를 해야하는 이유는 전세든 월세든 들어가는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 반드시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월세의 경우에는 소득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고 전세자금대출 한 경우에도 소득공제가 가능하므로 꼭 전입신고를 하시기 바랍니다.

단, 전세의 경우 본인의 자금이 100% 들어간다면 소득공제가 안되니 이 점 유의해주세요.

2. 전입신고 기간

14일, 2주 이내 신고하셔야 합니다. 2주가 지나고 신고는 가능하지만 과태료 부과 대상이니 반드시 2주안에 신고하시길 바랍니다.

3. 미신고 시 과태료

  • 거짓 자료 제출시 - 1천만원
  • 사실조사 거부 및 기피 할 시 - 50만원
  • 신고의무자가 안할 시 - 10만원
  • 정당한 이유 없이 기간내 미신고시 - 5만원

 

전입신고 인터넷 1분만에 신청하는 방법

전입신고 인터넷 신청방법은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신고가 가능합니다. 비회원으로도 신청이 가능하니 꼭 먼저 로그인 하신 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전입신고 바로가기

 

 

1. 위 바로가기 링크에 접속하셔서 전입신고 유의사항을 읽어보시고 "예"을 클릭하세요.

인터넷 전입신고 신청방법
인터넷 전입신고 신청방법

2. 1단계 신청인 정보에 본인의 연락처와 전입하는 사유를 기입하고 다음단계로 넘어갑니다.

인터넷 전입신고 신청방법
인터넷 전입신고 신청방법

3. 2단계 이사전에 살던 곳에 정보를 기입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인증이 필요로 하니 참고바랍니다.

인터넷 전입신고 신청방법

4. 3단계 이사온 곳에 정보를 기입하시고 본인 상황에 따라 신청을 따로 해주신 뒤 민원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마무리 하시면 됩니다. 단, 이 단계에서 본인 신분증이 필요하니 꼭 컴퓨터에 신분증을 스캔하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전입신고 신청방법
인터넷 전입신고 신청방법

 

오늘은 전입신고 인터넷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회사에서 쉬는 시간 1~3분만 투자하시면 소중한 연차 하루를 아끼실 수 있으니 놓치지 마시고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시간에도 여러분께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가지고 오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